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스텔스 오미크론 증상 및 재감염 정보

by 뉴제리 2022. 4. 10.
반응형

여전히 코로나 일일 확진자가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에 기존 오미크론의 하위 계통인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증상, 기존 오미크론과의 차이점, 그리고 재감염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지구본_이미지에_바이러스돌기모양

 

 

스텔스 오미크론은 무엇일까?

지난해 11월 등장한 기존 오미크론(BA.1)의 하위 변이 입니다.  왜 기존의 오미크론 앞에 '스텔스'가 붙여졌을까요? 스텔스 오미크론 (BA.2)는 발견 초기 유전자증폭(PCR) 검사로 구분이 어려워 '잠복', '잠행'의 의미인 Stealth가  앞에 붙여 ‘스텔스 오미크론'이라는 별칭이 붙어졌습니다. 변이가 있기는 한데 크진 않아서, 오미크론에서 오메가 등으로 아예 이름이 바뀔 정도는 아직 아니라고 하네요. 국내 언론에서는 국내 PCR 검사에서 스텔스 오미크론을 애초에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기존 오미크론과 다른 점은?

스텔스 오미크론 (BA.2)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기존 오미크론에 없는 돌연변이 8개가 더 있어, 전파력이 30∼50%가량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미크론은 평균 세대기(앞선 감염자 증상 발현일~뒤이은 감염자 증상 발현일)가 약 2.8∼3.4일인데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세대기는 약 0.5일이 짧습니다. 중증도,  입원율은 기존 오미크론과 차이가 크게 없다고 하네요.



주요 증상은?

현기증과 피로감이 대표적인 증상으로 꼽히며 확진자들이 호소하는 목 통증 및 기침, 두통 등 기본증상등이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발열·기침·두통·심박수 증가·근육통·구토·설사·복통 등도 나타날 수 있다고 세계 보건기구가 전했습니다. 물론 양성이지만 간혹 무증상으로 나타나는 환자도 있다고 해요. 한국뿐 아니라 해외 국가에서도 다시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존 백신과 치료제는 스텔스 오미크론 (BA.2) 에도 효과가 있을까?

방역당국은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 치료제에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BA.2) 모두 3차 접종시 2∼4주 후 70%, 5~9주 후 61~67%, 10주 후 46~49%가량 예방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먹는 치료제 팍스 로비드와 라게 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 주사제 렘데시비르 모두 확진 판정 이후 이른 시간 내에 처방하면 효과가 있다고 방역본부가 전했습니다.


기존 오미크론 감염자가 스텔스 오미크론( BA.2) 에 재감염될 수 있을까?

델타 변이에 감염된 사람이 오미크론이나 스텔스 오미크론(BA.2)에 재감염될 수는 있겠지만, 기존 오미크론에 걸렸던 사람이 스텔스 오미크론에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오미크론과 면역학적인 특성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오미크론 감염으로 형성된 항체가 유효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언제쯤 마스크를 벗을 날이 올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