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알약 함부로 잘라 먹으면 안되는 이유

by 뉴제리 2022. 8. 9.
반응형

약이 너무 큰 경우 알약을 잘라 복용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약을 임의로 잘라 먹을 경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계시나요? 오늘은 알약을 함부로 잘라 먹으면 안되는 이유와 효과적인 복용방법에 알아보겠습니다.

 

 

 

알약 조제

알약을 만들 때는 여러가지 성분이 같이 들어가게 됩니다. 부형제, 주성분, 붕해제, 방출조절제 등 가루상태인 물질들이 섞여 알약으로 만들게 됩니다. 

 

우리 몸에서 알약이 녹는 시간을 조절해 주어야 각 성분에 맞게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이를 조절해 주는 것이 붕해제와 방출조절제입니다.

 

 

알약 종류

알약은 서방정장용정으로 두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 서방정 : 서방정은 체내에 천천히 약물이 흡수되게 끔 만들어진 약입니다. 즉 특수 코팅이나 방출조절제등을 통해 몸 안에서 들어가 조금씩 녹게 되고 조금씩 흡수되게 만들어져 알약의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어요.

 

  • 장용정 : 장에서만 흡수되도록 코팅된 약으로 유산균제제에서 잘 볼수 있는 약입니다. 위장에서 위산에 의해 녹아 효과를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알약 자체를 코팅하거나 캡슐을 쒸워 녹는시간을 적절히 조절해 녹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알약을 잘라 먹을 시 부작용

위장에 닿으면 심한 위장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 장에서 녹을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위장에 부담이 덜하게 됩니다. 만약 알약을 쪼개서 복용할 경우 과도하게 흡수되어 위장장애와 소화기관 관련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어요.

또한 장에 필요한 약인 경우 알약이 도달하기 전 위산에 의해 녹을 수 있으므로 용법에 맞게 복용해야합니다.

 

잘라먹을 수 있는 약도 있으나, 분할 복용하려면 약사와 먼저 상담이 필요해요.

알약을 삼키기 어려운 분들이라면 같은 성분의 더 작은 형태의 약은 없는지, 시럽 등으로 변경 할 수 있는지 상담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알약을 잘라 먹을 때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