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이 너무 큰 경우 알약을 잘라 복용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약을 임의로 잘라 먹을 경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계시나요? 오늘은 알약을 함부로 잘라 먹으면 안되는 이유와 효과적인 복용방법에 알아보겠습니다.
알약 조제
알약을 만들 때는 여러가지 성분이 같이 들어가게 됩니다. 부형제, 주성분, 붕해제, 방출조절제 등 가루상태인 물질들이 섞여 알약으로 만들게 됩니다.
우리 몸에서 알약이 녹는 시간을 조절해 주어야 각 성분에 맞게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이를 조절해 주는 것이 붕해제와 방출조절제입니다.
알약 종류
알약은 서방정과 장용정으로 두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 서방정 : 서방정은 체내에 천천히 약물이 흡수되게 끔 만들어진 약입니다. 즉 특수 코팅이나 방출조절제등을 통해 몸 안에서 들어가 조금씩 녹게 되고 조금씩 흡수되게 만들어져 알약의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어요.
- 장용정 : 장에서만 흡수되도록 코팅된 약으로 유산균제제에서 잘 볼수 있는 약입니다. 위장에서 위산에 의해 녹아 효과를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알약 자체를 코팅하거나 캡슐을 쒸워 녹는시간을 적절히 조절해 녹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알약을 잘라 먹을 시 부작용
위장에 닿으면 심한 위장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 장에서 녹을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위장에 부담이 덜하게 됩니다. 만약 알약을 쪼개서 복용할 경우 과도하게 흡수되어 위장장애와 소화기관 관련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어요.
또한 장에 필요한 약인 경우 알약이 도달하기 전 위산에 의해 녹을 수 있으므로 용법에 맞게 복용해야합니다.
잘라먹을 수 있는 약도 있으나, 분할 복용하려면 약사와 먼저 상담이 필요해요.
알약을 삼키기 어려운 분들이라면 같은 성분의 더 작은 형태의 약은 없는지, 시럽 등으로 변경 할 수 있는지 상담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알약을 잘라 먹을 때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모공 줄이는 법 (3) | 2023.08.23 |
---|---|
지루성 두피염과 그 증상 - 환절기 두피 트러블 해결하기 (0) | 2023.07.24 |
콜레스테롤 낮추는 음식 총정리 (0) | 2022.07.12 |
탄산수 물처럼 마시지 마세요! (+ 탄산수 장점, 단점) (0) | 2022.07.12 |
버섯을 먹으면 암,치매 40% 막는다? (0) | 2022.07.02 |
댓글